
사빈 모리츠의 에덴에서의 색채의 물결
사빈 모리츠는 꿈같은 꽃 이미지와 매혹적인 도시 장면을 창조하는 인물화 화가로서 명성을 쌓아왔다. 그러나 베를린의 KÖNIG GALERIE에서 열리는 그녀의 새로운 전시는 그녀의 발전에서 흥미로운 새로운 단계를 보여준다. "에덴"이라는 제목의 이 전시는 14개의 새로운 그림을 선보이며, 그 중 9개는 대형 추상화이다. 이 서정적이고 임파스토 기법으로 제작된 작품들은 즉시 전시 공간을 지배하며, 감정과 드라마로 끓어오른다. 이들의 감정적이고 물질적인 존재감은 갤러리의 합리적이고 조직적인 벽돌과 콘크리트 내부와 자신 있게 대조를 이룬다. 전시회에 들어서면 첫 인상은 이 이미지들이 중요하며, 오랜 응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미묘한 방식으로 다른 것과 경쟁하고 있다. 추상화 캔버스 사이에 꽃과 도시 장면의 다섯 개의 작은 인물화가 섞여 있다. 이 작은 작품들은 덜 대담하고 규모가 작지만, 더 큰 추상 작품들에 맞서 진지하게 자신의 입지를 지킨다. 추상 캔버스가 더 많은 주의를 요구하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인물화는 부드러운 사이렌 송을 속삭이는 듯하다. 추상화가 외치는 동안, 이들은 조용하다. 결국, 두 개의 겉보기에는 다른 작업 집단 간의 대조가 상상력을 사로잡는다. 이러한 작품들을 함께 전시함으로써, 모리츠는 우리를 그녀의 방법과 과정의 신성함으로 안내하며, 이 모든 이미지가 이 전시의 제목인 "에덴"의 찬양 속에서 함께 어우러진다. 에덴은 모든 것이 정확히 있어야 할 대로 존재하고, 누구도 부패시키거나 판단하기 위해 도착하지 않은 오염되지 않고 이상적인 장소이다.
벽 뒤의 삶
모리츠는 1969년 공산주의 동독의 작은 북부 중세 도시인 퀘들린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직전에 가족과 함께 서독으로 탈출했다. 그때까지 그녀는 이미 장벽 뒤의 삶의 시각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확고히 이해하며 성장해왔다. 건물과 거리의 회색; 부서진 표면; 손길이 닿지 않고 소중히 여겨지지 않는 자연. 억압과 부패의 이 세계는 지금도 그녀의 시각적 언어의 일부로 남아 있다. 그녀의 모든 그림에서 모리츠는 그것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지 않을 수 없으며, 마치 그녀의 마음에서 떠나지 않는 끊임없는 메아리와 같다.
사빈 모리츠: 에덴, 2018년 베를린 KÖNIG GALERIE 전시 전경. 사진: 로만 마르츠
그 회색과 궁핍은 에덴에 포함된 두 도시 장면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Neuland"(2017)는 버려진 도시 공터를 가로질러 걷고 있는 유기견을 보여줍니다. 이곳은 판자로 막힌 버려진 상점과 아파트 건물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제목은 "미지의 영역"으로 번역됩니다. 이는 동시에 우울하고 희망적인 생각입니다: 절망의 손상된 장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지의 약속을 품고 있습니다. 다른 도시 장면인 "Tunnel"(1992-93 / 2017)은 주변의 고층 건물들이 조용히 비어 있는 가운데, 터널로 사라지는 빈 도로를 보여줍니다. 이 이미지는 미묘하고 고요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러나 그 안에는 뭔가 불안한 요소도 있습니다. 제 상상일까요, 아니면 한 고층 건물의 색상이 미국 국기를 모방하는 것처럼 보이나요? 개의 그림과 결합하여, 저는 이 그림에서 현대 정치와 문화에 대한 언급을 찾지 않을 수 없으며, 이는 모리츠가 자신의 과거 이야기와 연결되는 현재의 지평선에서 무언가를 보고 있는지 궁금하게 만듭니다.
사빈 모리츠: 에덴, 2018년 베를린 KÖNIG GALERIE 전시 전경. 사진: 로만 마르츠
야생의 에덴
에덴에 전시된 세 개의 꽃 그림은 아름다움과 두려움 사이의 오싹한 중간 지점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그림은 "로젠 운드 릴리엔"(2017)이라는 제목으로, 이름 그대로 장미와 백합의 그림입니다. 이들은 사랑과 죽음의 꽃으로, 함께 결합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 그림은 "페오니엔 운드 마우제"(2017)라는 제목으로, 이름 그대로 꽃병에 담긴 모란과 두 마리의 쥐의 이미지입니다. 꽃병의 물은 낮습니다. 꽃들은 버려진 것 같고, 이제 쥐들은 떠나간 사람이나 데려간 사람에 의해 남겨진 부스러기를 찾으러 왔습니다. 세 번째 꽃 그림인 "로젠 운드 쉐델"(2017)은 인간의 해골이 배경에 있는 테이블 위 꽃병에 앉아 있는 마른 듯하지만 여전히 사랑스러운 장미의 그림입니다. 다른 두 꽃 그림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생명과 죽음에 대한 동시에 연결된 의미와 아름다움과 부패에 대한 동시에 감사를 암시합니다.
사빈 모리츠: 에덴, 2018년 베를린 KÖNIG GALERIE 전시 전경. 사진: 로만 마르츠
결국, 아홉 개의 추상 캔버스가 에덴의 진정한 강도와 잠재력을 드러냅니다. 이 그림들에서 모리츠는 폭발적인 제스처와 색상의 언어를 사용하여 과거의 표현주의 화가들을 회상하면서도 확실히 현대적인 무언가를 끌어냅니다. 이 작품들은 두 화가를 참조합니다: 모네, 그의 후기 수련 작품에서, 그리고 미국 추상 표현주의 화가 조안 미첼의 작품들. 모네의 참조는 구성의 균형과 색상 관계에서 드러나며, 이 캔버스들이 진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미첼의 참조는 부분적으로는 붓질을 통해 표현되지만, 주로는 고뇌를 통해 드러납니다. 미첼은 많은 악마들과 싸웠고, "Als die Säugetiere ins Meer kamen" (포유류가 바다로 들어갔을 때) (2018), "Glut" (빛) (2018), "Chaos" (혼돈) (2018)와 같은 그림에서 모리츠도 마찬가지임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이 그림들 중 일부, 특히 이 전시회의 이름을 붙인 두 작품인 "Eden I"와 "Eden II" (2018)에는 뚜렷하게 아름답고, 아마도 낙관적인 무언가가 있습니다. 그들의 생동감 넘치는 빨강과 파랑 속에서 창조적인 에너지가 이 구성들에서 흘러나옵니다. 그들은 그들의 매체의 무게를 완전히 드러냅니다. 그들의 페인트의 풍부함과 감각성은 새로운 시작의 감각을 불러일으키지 않을 수 없습니다. 비록 이 작품들이 확실히 추상적이며 실제 에덴을 전달할 의도가 없지만, 에덴이 한때 가졌던 한 가지, 즉 약속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사빈 모리츠: 에덴은 2018년 8월 19일까지 베를린의 KÖNIG GALERIE에서 전시됩니다.
특집 이미지: 사빈 모리츠: 에덴, 2018년 베를린 KÖNIG GALERIE 전시 전경. 사진: 로만 마르츠
필립 Barc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