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switcher country flag for 한국어 한국어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English English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简体中文 简体中文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Deutsch Deutsch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русский русский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Español Español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Italiano Italiano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português português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ภาษาไทย ภาษาไทย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Polski Polski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Nederlands Nederlands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svenska svenska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Suomi Suomi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norsk norsk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Dansk Dansk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العربية العربية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हिन्दी हिन्दी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日本語 日本語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français français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한국어 한국어
  • Language dropdown option country flag for 繁體中文 繁體中文
내용으로 건너뛰기

장바구니

장바구니가 비어있습니다

게시글: 17년 동안 매주 일요일 하늘을 그린 화가

The Artist Who Painted the Sky, Every Sunday for Seventeen Years

17년 동안 매주 일요일 하늘을 그린 화가

바이런 킴은 추상 예술가이지만, 추상 예술과의 관계는 복잡합니다. 그 복잡한 관계의 일부 증거는 최근 뉴욕 제임스 코한 갤러리의 첼시 지점에서 열린 전시회 일요일 그림, 2001년 1월 7일 – 2018년 2월 11일에 공개되었습니다. 제목에도 불구하고 2018년 2월 17일까지 계속되는 이 전시회는 거의 100점의 그림을 특징으로 합니다. 각 그림은 동일한 크기(14 x 14 인치)이며, 각 그림은 킴이 일요일에 그린 하늘의 그림을 보여줍니다. 각 그림에는 또한 약간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들은 그림이 그려진 날에 작성된 일기 항목으로, 개인적인 것부터 정치적, 존재론적인 것까지 다양한 생각을 표현합니다. 킴은 2001년 1월 7일에 이 작업 시리즈를 시작했습니다. 그 이후로 그는 매주 일요일마다 하나의 하늘 그림을 그려왔습니다(그 과정에서 잊어버리거나 다른 이유로 작업을 하지 못한 몇몇 일요일을 제외하고). 그리고 킴은 전시가 시작된 이후 매주 일요일마다 하나의 하늘 그림을 추가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가 나타내는 연속성을 보여줍니다. 전시가 계속되는 동안 작품을 계속 추가하기로 한 선택은 로버트 모리스의 설치작품 매일 변경되는 지속적인 프로젝트와 같은 유사한 프로젝트를 떠올리게 합니다. 그것은 예술가-관객 경험의 "네 번째 벽"을 깨트리며, 예술가가 하는 작업은 결코 완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또한 이 작품들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선택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킴과 추상 사이의 복잡한 관계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그의 다른 여러 작업들과 마찬가지로, 이 하늘 시리즈는 비유적이면서도 추상적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킴은 "나는 좋은 추상화를 좋아하지만, 사람들이 추상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이 이야기하는 것에는 종종 관심이 없다. 그래서 나는 내 자신의 내용을 적용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 내용은 전시 제목에 언급된 배경 이야기에서 분명히 드러나며, 일기 항목에서도 드러납니다. 그러나 이 이미지들 대부분은 거의 단색이며, 미세한 색조와 색상의 변화만을 제외하고는 그렇습니다. 그리고 멀리서 보면 텍스트는 보이지 않습니다. 관객이 갤러리에 들어가서 빠르게 지나가고, 자신이 생각하기에 미니멀리스트 그림의 추상 전시회에 대해 형식적인 장점에 대해 몇 시간 동안 이야기할 수 있지만, 그들이 본 전시가 전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추상적 형상 예술가

일요일 그림은 상당한 미디어 보도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 관심은 이러한 그림의 장점만으로 오는 것이 아닙니다. 이 작품 집합은 김이 한 세대 전에 만든 또 다른 추상-인물 시리즈인 시네크도키 (1991)와 일종의 대조를 이루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1993년 휘트니 비엔날레에 전시되었습니다. 그 시리즈 또한 크기가 동일하고 거의 단색인 수백 점의 그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경우, 각 그림은 모델의 피부 톤을 대표하는 초상화입니다. 형식적으로 시네크도키는 화가가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색조의 황갈색과 분홍색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또한 형태와 연속성에 대한 탐구이기도 합니다.

바이런 킴 일요일 그림Byron Kim - Sunday Painting, 11/14/16, 2016, Acrylic and pencil on canvas mounted on panel, 14 x 14 in., 35.6 x 35.6 cm, Courtesy the artist and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하지만 김을 패러프레이즈하자면, 그것들은 사람들이 추상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야기하는 것들일 뿐이다. 그것들은 김이 이 그림들을 만들 때 생각하고 있던 것들이 아니었다. 김이 시네크도키 작업을 시작했을 때, 그는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인종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인류가 사람들을 구체적이고 순수한 색상—검정, 흰색, 노란색, 빨강—으로 이야기한다는 이상한 개념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분명히 그의 연구가 보여주듯이, 우리의 피부 외관을 구성하는 색조의 무한한 변형이 존재한다. 시네크도키는 김을 유명하게 만들었다. 그것은 또한 비평가들이 그를 "추상적 인물" 예술가라고 부르기 시작하게 만든 작품이었다. 그것은 그를 한편으로는 정체성에 대한 작업을 하는 예술가로 정의함으로써 그를 틀에 박히게 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이 그를 자유롭게 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가 즉흥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바이런 킴 예술 및 뉴스Byron Kim - Sunday Painting 3/13/11, 2011, Acrylic and pencil on canvas mounted on panel, 14 x 14 in., 35.6 x 35.6 cm, Courtesy the artist and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이론이 실천에 앞선다

나는 김이 정체성을 넘어서는 유산의 일부이며, 일기장 기록보다 더 깊은 부분에 있다고 느낀다. 그는 일종의 역 요제프 알버스이다. 우리는 알버스를 예술가이자 교사로 기억한다. 그의 가장 유명한 그림 시리즈는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였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시리즈는 정사각형에 관한 것이 아니라 색상 관계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알버스는 색상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논의할 수 있는 이론적 출발점으로 정사각형을 사용했다. 정사각형은 그의 작업의 비유적 측면이었다. 색상은 추상적 측면이었다. 그가 가르친 수업에서 알버스는 학생들이 반복적인 형식 연습에 참여하도록 했고, 이를 통해 그들 스스로 색상 관계를 경험할 수 있게 했다. 그는 이 연습의 목적이 무엇인지 설명하지 않았고, 그저 학생들이 스스로 연습에 참여하도록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론이 나타나도록 했다.

갤러리에서 전시 중인 바이런 킴의 밤 전시Byron Kim - Sunday Painting, 4/20/10, 2010, Acrylic and pen on canvas mounted on panel, 14 x 14 in., 35.6 x 35.6 cm, Courtesy the artist and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다시 말해, 알버스와 함께한 실천은 이론에 앞섰습니다. 김과 함께한 이론은 실천에 앞섭니다. 제가 보기에 김이 시작하는 이론은 색상이 미묘하다는 것이지만, 인간의 색상 인식은 종종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시네크도키는 그 이론을 직접적이고 친근한 방식으로 검토했습니다. 그 시리즈를 시작한 이후로, 김은 그 구조를 확장하여 그의 탐구를 더욱 발전시켜 왔습니다. 그의 일요일 그림은 그 주제의 한 가지 반복일 뿐입니다. 그들은 특히 일기 항목을 통해 자가 부과된 내용에 대한 그의 필요를 충족시킵니다. 이는 관객에게 작업의 그 측면을 탐구하기로 선택할 경우 추가적인 내러티브 층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추상적인 수준에서 그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에 만족하는 관객의 필요도 충족시킵니다. 유사한 이미지의 넓은 범위 내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그들은 우리의 인식의 한계와 깊이를 드러냅니다. 그들은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것이 변하지 않는 상태라는 수수께끼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바이런 킴 브루클린 미술관 1993Byron Kim - Sunday Painting 6/19/01, 2001, Acrylic and pencil on panel, 14 x 14 in., 35.6 x 35.6 cm, Courtesy the artist and James Cohan Gallery, New York

특집 이미지: 바이런 킴 - 일요일 그림 1/20/09, 2009, 아크릴과 연필로 캔버스에 패널 장착, 14 x 14 인치, 35.6 x 35.6 cm, 아티스트와 제임스 코한 갤러리, 뉴욕 제공

모든 이미지는 설명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필립 Barcio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Auguste Herbin: The Architect of Abstraction and His Lasting Legacy
Category:Art History

오귀스트 에르뱅: 추상의 건축가와 그의 지속적인 유산

오귀스트 에르뱅(1882년 4월 29일, 프랑스 키에비 출생)은 20세기 전반부 동안 추상 미술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다. 그는 비재현 미술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랑스 및 그 너머의 추상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플랫폼이 된 *Abstraction-Création* 집단을 창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초기 생애 및 예술적 시작 (1882-192...

더 알아보기
Minimalism in Abstract Art: A Journey Through History and Contemporary Expressions

추상 미술의 미니멀리즘: 역사와 현대 표현을 통한 여정

미니멀리즘은 그 명료성, 단순성, 그리고 본질에 대한 집중으로 예술 세계를 매료시켰습니다. 추상 표현주의와 같은 이전 운동의 표현적 강도에 대한 반응으로 등장한 미니멀리즘은 예술을 형태, 색상, 공간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축소함으로써 우리가 예술을 바라보는 방식을 재형성했습니다. 그러나 미니멀리즘은 정말로 하나의 운동이었을까요, 아니면 스타일적...

더 알아보기
Notes and Reflections on Rothko in Paris­ by Dana Gordon
Category:Exhibition Reviews

'파리에서의 로스코에 대한 노트와 반성 - Dana Gordon'

파리는 추웠다. 하지만 여전히 만족스러운 매력과 아름다움이 사방에 있었다. 웅장한 마크 로스코 전시회는 눈 덮인 부아 드 부를로뉴의 새로운 박물관인 루이 비통 재단에 있다. 화려하고 플라스틱 같은 건물은 프랭크 게리의 디자인이다. 그 레스토랑의 이름은 프랭크이다. 갤러리는 훌륭하고, 그림들은 매우 어두운 갤러리에서 절제된 스포트라이트로 존중 있게 전...

더 알아보기
close
close
I have a question
sparkles
close
product
Hello! I am very interested in this product.
gift
Special Deal!
sparkles
Hello! You can ask me anything about abstract art or ideelArt!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