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코 그리냐니의 최면 세계
이번 2월, 스위스의 m.a.x. 뮤지엄과 키아소 문화 센터에서는 프랑코 그리냐니 (1908 – 1999)의 경력을 탐구하는 전시회를 열 예정입니다. 그리냐니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을 수도 있지만,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의 복사본을 최소한 하나는 소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냐니는 유명한 “울마크” 로고를 디자인했습니다: 순수 처녀 양모로 만들어진 것을 나타내는 태그에 나타나는 세 개의 면이 얽힌 검은색과 흰색 선의 소용돌이입니다. 이 무해해 보이는 로고는 이전에 당신의 눈길을 끌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광학적 신비의 세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로고는 수학자들이 비방향성 표면이라고 부르는 것과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자신의 거울 이미지로 변형되는 2차원 상호 연결된 경로입니다. 이 로고에서 보는 것을 이해하려고 할수록, 당신의 눈은 당신의 마음에 속임수를 씁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광학적 착시가 아닙니다. 이 로고는 또한 형태의 심리학을 활용합니다. 그 삼각형 구조는 안정성과 강인함을 나타냅니다. 그 원형 선들은 부드러움과 지지를 암시합니다. 그 곡선의 면들은 조화와 평화를 투사합니다. 그 검은색과 흰색 팔레트는 색채 이론의 심리학을 더욱 활용합니다. 검은색은 힘과 권위를 의미합니다. 흰색은 개방성과 순수를 암시합니다. 검은색과 흰색이 함께 조화를 이루고 포용성을 투사합니다. 그리냐니는 로고를 디자인할 때 이러한 모든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가 내린 모든 결정은 의도적이었습니다. 1963년에 디자인을 개발했을 때 그는 55세였습니다. 그는 수십 년 동안 지각의 과학을 연구해 왔으며, 자신이 배운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은 수천 개의 스케치, 로고, 드로잉, 포스터 및 그림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리냐니는 시각, 광학 및 상징의 숨겨진 의미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이 단순한 디자인에 쏟았습니다. 그 결과는 역사상 가장 인지 가능한 소비자 로고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키아소에서 열릴 전시회가 시사하듯, 울마크 로고와 그의 나머지 작품이 그렇게 성공적이었던 진정한 이유는 그리냐니가 평범한 디자이너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인간이 시각 세계와 형이상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완전히 이해한 완전한 예술가였습니다.
바우하우스보다 더 바우하우스
2019년, 바우하우스 설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것은 그리냐니의 작업을 기념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리냐니는 바우하우스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었지만, 그의 경력은 학교의 가장 높은 이상을 구현했습니다. 그리냐니는 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했으며, 졸업 후 이탈리아 자동차 제조업체 피아트와 출판사 아르놀도 몬다도리 에디토레와 같은 이탈리아 기업을 위한 기업 로고를 만드는 디자인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그의 디자인은 단순히 그래픽적 충격을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시각적 현상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자세히 연구한 데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바우하우스의 구성원들처럼, 그리냐니는 그의 각 디자인이 "총체적 예술 작품"이 되도록 노력했으며, 이는 단순히 아름답고 유용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사용될 사람들의 심리적 필요를 고려한 것이었습니다.
프랑코 그리냐니 - 수치 작동, 1965
그의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견해는 그것이 즉각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광고의 메시지가 단어와 사진에 의해 부분적으로만 전달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의 연구는 이미지로 전달되는 정보의 대부분이 관객이 잠재의식적으로 해석하는 형식적 미적 요소를 통해 전달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의 작업의 이 측면에 대한 숙련도는 디자인 수업에서 온 것이 아니라 현대주의 추상 미술에 대한 철저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초기 피아트 포스터 중 하나에서 그리냐니는 읽기 어려운 소문자 필기체로 피아트라는 단어를 썼다. 광고의 메시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하다: 이것은 미래를 위한 제품이다. 이미지는 다다 콜라주 기법(흑백 사진 요소가 색상 배경 위에 겹쳐짐), 미래주의적 구성 전술(날카로운 대각선), 그리고 형태의 초월주의적 언어(흰색 지지대 위의 단일 녹색 정사각형)를 결합했다. 광고 속 자동차는 현대 기준으로는 구식이지만, 디자인 덕분에 그 이미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현대성을 외치고 있다.
프랑코 그리냐니 - 경계에서의 분리, 1967
잃어버린 옵 아티스트
그리냐니가 로고, 책 표지, 포스터 및 기업 광고를 디자인하는 동안, 그는 또한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열심히 예술을 창작하고 있었다. 그가 1950년대 초부터 제작한 그림들은 옵 아트 운동을 예고하며, 오랜 시간 바라볼수록 운동감이 생기는 선과 형태의 지각적으로 도전적인 배열을 보여준다. 그리냐니는 빅터 바사렐리와 브리짓 라일리와 같은 옵 아트의 공인된 선구자들보다도 훨씬 이전에 이러한 유형의 그림을 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옵 아트를 대중에게 소개한 것으로 평가받는 MoMA의 '반응하는 눈' 전시회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MoMA는 그리냐니의 작품 중 하나를 소장하고 있다: 1965년으로 날짜가 적힌, 아티스트 자신이 기증한 리토그래프이다. 이 리토그래프의 이미지는 전시회와 잘 어울렸을 것이며, 아마도 그리냐니가 기증한 이유는 그가 부당하게 제외되었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프랑코 그리냐니 - 방사형 분할, 1964
흥미롭게도, 그리냐니는 1949년 모마 전시회인 – 당신의 삶 속의 현대 미술 – 에 포함되었습니다. 그 전시에서 그의 작품은 반응하는 눈 전시와도 잘 어울렸겠지만, 그것은 그림이 아니라 광고였습니다. 이 사실은 그리냐니가 옵 아트 대화에서 제외된 편견의 원인이 되었을 수 있으며, 오늘날 그에 대해 아는 사람이 적은 이유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불행하고 부당한 오류였습니다. 그리냐니가 20세기 가장 효과적인 디자이너 중 한 명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그는 그 이상이었습니다. 그는 우리가 보는 것과 느끼는 것 사이의 관계를 밝혀내는 데 평생을 바친 낙관적이고 사려 깊은 예술가였으며, 그것이 우리에게 무엇을 믿게 만드는지를 질문하는 뛰어난 질문자였습니다. 프랑코 그리냐니 (1908-1999) – 예술, 그래픽 및 사진 사이의 다감각성 전시가 2019년 2월 17일부터 9월 15일까지 스위스의 m.a.x. 뮤지엄과 키아소 문화 센터에서 열립니다.
특집 이미지: 프랑코 그리냐니 - N. 265, (가장자리에서의 분리), 1969. 아크릴, 쇼엘러 판지. 50 x 70 cm.
모든 이미지는 설명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필립 Barcio에 의해